10cc - i'm not in love 가사, 밴드 이름의 기원

광고 음악과 ost로 자주 사용되는 I'm not in love의 가사와 노래를 부른 10cc라는 밴드 이름의 기원을 정리했습니다. 최근 비스포크 냉장고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었고 가오갤 1편 ost로도 사용됐습니다.
homebodyist
10cc-i'm-not-in-love-thumb

 저번 포스트의 주제였던 비스포크 냉장고 광고를 그토록 인상 깊게 만들었던 광고 음악이 뭐였는지 알아봤다.

 흥얼흥얼 귀에 익긴 한데 정확히 누가 부르고, 어떤 가사인지 잘 몰랐는데 이참에 쫙 한번 훑어보자. 밴드 이름의 기원에 얽힌 재미있는 가십도 옮겨본다.

광고 ost 단골 음악

 비스포크 냉장고 광고 음악으로 사용된 곡은 "I'm not in love" 였다. "I'm not alone"으로 검색했는데 구글이 찰떡같이 찾아주네.

 잊을만하면 어디선가 한 번씩 들려오는데, 광고와 ost 음악으로 인기 많은 곡이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끝내주는 노래 모음집 Vol.1에도 들어있었다.

 그러고 보니 비스포크 냉장고 광고와 가오갤 1편의 시작 느낌이 많이 닮았다. "I'm not in love" 인트로가 도입부에 전개되면서 화면이 펼쳐지는 모양이 유사하다는 게 재미있다.

10cc 이름에 얽힌 가십

 또 하나 밴드 이름의 기원에 얽힌 가십도 흥미롭다. 노래를 불렀던 가수는 70년대 프로그레시브 록 그룹인 '10cc' 다.

 우리나라에는 이미 '10cm' 라는 잘 알려진 그룹-지금은 1인 인디밴드라고 하던데-이 있어서 이런류의 이름이 생소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때는 70년대였고 인기가 올라갈 수록 가수에 대해서 뭐든 궁금해지는 법이니까 왜 이런 이름을 지었을까 의견이 분분했던 것 같다.

 밴드가 모두 남성으로 구성된 만큼 '10cc'가 평균 정액 배출량을 암시한다는 설이 지금까지도 사실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남성의 평균 정액 배출량은 엄밀히 따지면 3~4cc 여서 밴드의 멤버들이 신체적으로도 더 우월하다는 의미로 지었다는 설까지 등장한다.

 하지만 제작자 조나단 킹과 밴드 멤버 에릭 스튜어트에 따르면 '10cc'는 꿈에서 본 이름이란다. 조나단 킹이 성공한 밴드의 모습과 10cc라는 이름을 꿈에서 보고 일종의 예지몽처럼 의미를 부여하면서 지은 이름이었다는 인터뷰 내용이 있다.

 물론 밴드 이름에 얽힌 이 정액량 암시가 매우 그럴듯하고, 더 재미있어서 본인들이 뭐라고 하던 사람들은 계속 '그랬다더라'는 식으로 루머가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이제 가사 내용 한번 살펴보자.

'I'm not in love' 가사

10cc - I'm not in love 

I'm not in love So don't forget it 

나는 사랑에 빠진 게 아니에요, 그러니 잊지 말아요.

It's just a silly phase I'm going through 

그냥 실없는 시절일 뿐이에요. (나는 극복할거구요.)

And just because I call you up

그러니 내가 당신에게 전화한 거

Don't get me wrong,
don't think you've got it made

오해하지 말아요, (우리가) 뭐라도 된 것처럼 생각지 마요.

I'm not in love, no no, it's because

나는 사랑에 빠진 게 아니에요. (전화했다고 해서)

I like to see you But then again

당신을 만나고 싶지만 또 한편으로

That doesn't mean you mean that much to me

당신이 그만큼 나에게 의미 있다는 뜻은 아니에요.

So if I call you Don't make a fuss

그러니 내가 전화하더라도 부산떨 필요 없어요.(기대와 흥분으로 들뜬 모습)

Don't tell your friends about the two of us

당신 친구들에게 우리 둘 사이 말하지 말아요.

I'm not in love, no no, it's because

나는 사랑에 빠진게 아니에요.

Be quiet, big boys don't cry

울지마요, 다 큰 남자가 왜 울어요.

Big boys don't cry

Big boys don't cry

Big boys don't cry

Big boys don't cry

I keep your picture Upon the wall

당신 사진 벽에 붙여둔거요,

It hides a nasty stain that's lying there

지저분한 얼룩을 가리려고 거기 둔거에요.

So don't you ask me To give it back

그러니 다시 달라고 하지마요,

I know you know it doesn't mean that much to me

나도 알고 당신도 알잖아요, 나한테 그거 그렇게 큰 의미 아니란 거요.

I'm not in love, no no, it's because

나 사랑에 빠진게 아니에요. (벽에 사진 붙였다해서)

Ooh, you'll wait a long time for me

오, 나를 기다리는 거라면 당신 오래 기다려야 할 거예요.

Ooh, you'll wait a long time

오, 당신 오래 기다리게 될 거예요.

I'm not in love

나는 사랑에 빠진 게 아니니까요.

I'm not in love

사랑에 빠진 게 아니에요.

Writer/s: Eric Stewart, Graham Gouldman

감상

 새침한 누구 하나가 노래 안에 들어앉아 있다고 해야 할까? 세련된 곡 전개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묘한 멜로디에 어울리는 가사였냐고 한다면, 전혀 예상치 못한 스토리라는게 내 감상이다.

 물론 강한 부정으로 읊조리는 'I'm not in love'가 사랑에 겨워 그럴 수 있다는 거 다 큰 어른이라면 짐작이 가고도 남지만 여러 각도에서 조명이 되는 면도 있어서 마냥 로맨틱하지만도 않다.

 노랫말에 전화 얘기가 나온다. 70년대 영국에서 전화를 건다는 게 어느 정도 어려운 일이었을까? 아마 2023년 지금 우리 전화하듯 쉬워 빠진 일은 아니었겠지.

 어렵게 전화하면서도 특별한 뜻은 없고 사랑에 안빠진 얘기를 몇번이나 다짐하듯 되뇌이는 모습이 딱하면서 사랑스럽다.

 구글 바드에게 영국에서 70년대 전화 걸기 난이도를 1부터 10까지 수치로 알려 달라고 해봤다. 7 이란다. 에이, 😆 바드가 70년대에 대해서 뭘 알겠어. 그냥 모르는 척 속아준다.😁

 보통 나는 가사 몰입형인데 이 곡은 편곡이 너무 좋아서 질리지 않는다. 좋은 노래얌.

  • 바드는 구글 AI 제미나이(Gemini)의 옛 이름입니다.

https://www.snopes.com/fact-check/10cc/